스웨덴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웨덴의 총리는 스웨덴의 행정부 수반으로, 1876년에 신설되었다. 역사를 거치며 국왕이 정부 수반 역할을 수행했지만, 1917년 이후 의회 다수당 대표가 총리로 임명되는 등 의회주의가 확립되었다. 1974년 헌법 개정을 통해 내각이 명실상부한 행정부로 자리 잡았다. 총리는 의회 의장의 제안을 통해 선출되며, 175명 미만의 의원이 반대하면 확정된다. 총리는 부총리를 임명하며, 부재 시에는 내각 내 서열에 따라 직무를 대행한다. 총리 관저는 로젠바드에 위치하며, 사거스 궁전이 개인 관저로, 하르프순드 저택이 별장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총리 - 페르 알빈 한손
스웨덴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페르 알빈 한손은 1936년부터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며 "폴크헴메트" 비전을 제시, 스웨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 스웨덴의 총리 - 울프 크리스테르손
울프 크리스테르손은 2022년부터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는 정치인으로, 우익 연합을 이끌며 스웨덴 민주당의 외곽 지지를 받는 연립 정부를 통해 범죄와의 싸움, 이민 규제 강화, 원자력 발전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스웨덴의 NATO 가입을 주도하고 있다. - 유럽의 국가원수 - 체코의 대통령
체코의 대통령은 체코 공화국의 국가 원수이며, 국민 직선제로 선출되어 군 통수권, 법안 거부권 등을 행사하고 임기는 5년이며 1회 연임이 가능하다. - 유럽의 국가원수 - 루마니아의 대통령
루마니아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5년 임기의 대통령은 총리 지명, 장관 임명, 법률안 재가 등의 권한을 가지며, 헌법 심각 위반 시 탄핵 절차를 거쳐 국민투표로 결정된다.
스웨덴의 총리 | |
---|---|
기본 정보 | |
직책 | 스웨덴의 총리 |
원어 명칭 | 스베리예스 스타츠미니스터 (Sveriges statsminister) |
![]() | |
![]() | |
현직 | 울프 크리스테르손 |
현직 시작일 | 2022년 10월 18일 |
소속 부처 | 스웨덴 정부 행정부 |
호칭 | 각하 (외교적), 각하 (Mister Prime Minister) (비공식) |
직위 유형 | 정부수반 |
소속 | 스웨덴 정부 유럽 이사회 국가안보위원회 |
보고 대상 | 리크스다겐 |
관저 | 세이거 하우스 하르프순드 |
사무실 | 로젠바드, 스톡홀름, 스웨덴 |
지명권자 | 리크스다겐 |
임명권자 | 의장 |
임기 | 4년 (연임 가능) |
법적 근거 | 1974년 정부법 |
첫 총리 | 루이 헤르하르트 데 헤르 |
설립일 | 1876년 3월 20일 |
계승 | 계승 순위 |
부총리 | 부총리 |
연봉 | 2,112,000 스웨덴 크로나/미화 203,076달러 (연간) |
웹사이트 | 총리실 |
스웨덴어 명칭 | 헤르 스타츠미니스터 (Herr statsminister) |
정치 | |
구성 | 내각 |
스웨덴어 명칭 | |
원어 명칭 (스웨덴어) | statsminister |
2. 역사
1917년 의회주의가 확립되면서 국왕은 자신의 재량으로 총리와 국무원(각료)을 임명하거나, 의회의 의사에 반하여 그들을 직책에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6] 이후 국왕은 공식적으로 총리를 임명했지만, 실제로는 의회 다수당 대표 또는 다수파 연정의 수반을 임명해야 했다. 1809년 정부 형태 문서의 "국왕 혼자서만 왕국을 다스린다"는 조항은 유지되었지만, 국왕은 장관들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고 그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 암묵적으로 이해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장관들이 사실상 왕실 특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스웨덴 정부를 지칭하는 용어는 여전히 Kungl. Maj:tsv (Kunglig Majestätsv, '왕실 폐하'의 약자)였다.
1974년까지 스웨덴의 행정권은 국왕회의를 통해 행사되었다. 이후 헌법 개혁을 통해 새로운 정부 형태 문서가 마련되었는데, 이는 법적으로 의회 제도를 확립하고 왕권으로부터 권한을 얻지 않은 헌법적 권한을 가진 내각 정부를 수립했다. 동시에 군주제의 명목상의 정치적 권력까지 박탈하여 내각을 명칭과 실제 모두에서 국가의 행정부로 만들었다. 이는 1917년 의회 정부 확립 이후의 여러 관행들을 성문화한 것이다.[14]
스웨덴은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의원내각제에 따라 총리가 정부를 운영한다.[14] 스웨덴 헌법 중 1974년에 제정된 통치법에서 총리의 임명 및 해임, 정부 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14] 총리 후보는 리크스다그(의회) 의장이 의회에 제안하고,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지 못한 경우 의장이 임명한다.[14] 국왕에게는 총리 임명권이 없다.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은 경우에는 선거 실시 또는 의장에 의한 해임이 이루어진다.[14] 그 외 총리는 내각의 다른 장관들을 임명한다.[14]
2. 1. 총리직 신설 이전 (1876년 이전)
스웨덴의 역사에서 국왕은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했다. 구스타브 1세, 칼 11세, 구스타브 3세와 같은 국왕들은 스웨덴 정부가 군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많은 국왕들은 때때로 사실상 정부수반 역할을 맡았던 강력한 고문들을 두었는데, 스웨덴 제국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악셀 옥센셰르나가 대표적인 예이다. 대총재 직책은 법적으로 정부수반에 가장 가까운 역할이었으며, 자유시대 동안 현대의 총리와 유사한 책임을 맡았다. 당시에는 총리라는 직책이 없었다.1809년 새로운 1809년 정부 형태 문서가 채택되면서 '''사법총리'''(justitiestatsministersv)와 '''외교총리'''(utrikesstatsministersv)의 두 직책이 신설되었지만, 그들의 역할은 각 부처의 장에 불과했다. 1876년 총리직이 신설되면서 사법총리와 외교총리는 이후 사법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사법부 장관과는 달리 외교부 장관은 계속해서 "각하"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총리만이 공유하는 영예였다.[4][5]
2. 2. 총리직 신설 (1876년)
1809년 새로운 1809년 정부 형태 문서가 채택되면서 '''사법총리'''(justitiestatsministersv)와 '''외교총리'''(utrikesstatsministersv)의 두 직책이 신설되었지만, 그들의 역할은 각 부처의 장에 불과했다. 1876년 총리직이 신설되면서 사법총리와 외교총리는 이후 사법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사법부 장관과는 달리 외교부 장관은 계속해서 "각하"라는 칭호를 사용했는데, 이는 총리만이 공유하는 영예였다.[4][5]2. 3. 의회주의 확립 (1917년)
1917년부터 국왕은 자신의 재량으로 총리와 국무원(각료)을 임명하거나, 의회의 의사에 반하여 그들을 직책에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6] 그 이후로 국왕은 여전히 공식적으로 총리를 임명했지만, 실제로는 의회의 다수당 대표 또는 다수파 연정의 수반을 임명해야 했다. 정부 형태 문서의 "국왕 혼자서만 왕국을 다스린다"는 조항은 그대로 남아 있었지만, 이제 국왕은 장관들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고 그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관들이 사실상 왕실 특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스웨덴에서 정부를 일컫는 용어는 여전히 Kungl. Maj:tsv였는데, 이는 Kunglig Majestätsv '왕실 폐하'의 약자였다.2. 4. 1974년 헌법 개정
1974년까지 스웨덴의 행정권은 국왕회의를 통해 행사되었다. 헌법 개혁으로 새로운 정부 형태 문서가 마련되었는데, 이는 법적으로 의회 제도를 확립하고 왕권으로부터 권한을 얻지 않은 헌법적 권한을 가진 내각 정부를 수립했다. 동시에 군주제의 명목상의 정치적 권력까지 박탈하여 내각을 명칭과 실제 모두에서 국가의 행정부로 만들었다. 이는 1917년 의회 정부 확립 이후의 여러 관행들을 성문화한 것이다.[14]3. 총리의 선출 및 임명
스웨덴은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의원내각제에 따라 총리가 정부를 운영한다.[14] 1974년에 제정된 스웨덴 헌법 중 통치법에는 총리의 선출 및 임명, 해임, 그리고 정부 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14] 총리 후보는 리크스다그(의회) 의장이 의회에 제안하고,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지 못한 경우 의장이 임명한다.[14] 국왕에게는 총리 임명권이 없다.[14]
3. 1. 선출 과정
스웨덴 의회 의장은 당 대표들과 협의하여 의회의 승인을 받을 총리 후보를 제안한다.[7]의장이 제안한 후보는 부정적 의회주의를 통해 선출된다. 이는 찬성표나 기권표 수에 관계없이 175명 미만의 의원이 '반대'표를 던지면 총리 후보가 확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8] 이는 스웨덴 의회의 과반수가 "용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9]
스웨덴 의회의 승인을 받은 후, 새로 지명된 총리 지명자는 새로운 정부를 구성할 장관들을 의회에 알려야 한다.
정부의 공식적인 교체 및 새 총리 임기 시작은 왕궁에서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현재 국왕인 칼 16세 구스타프가 주재하는 정부 회의이다. 이 회의에서 의장은 지명 및 선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그 후 국왕은 정부 교체가 이루어졌다고 선포하여 새로운 총리와 그 정부의 임명을 확정한다.[10] 총리의 위임장 인수는 일반적으로 스웨덴 의회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22년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 임명 당시, 의장 안드레아스 놀렌은 국무회의에서 위임장을 인수하였다.[11]
스웨덴은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의원내각제에 따라 총리가 정부를 운영한다.[14] 스웨덴 헌법 중 1974년에 제정된 통치법에서 총리의 임명 및 해임, 정부 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14] 총리 후보는 리크스다그(의회) 의장이 의회에 제안하고,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지 못한 경우 의장이 임명한다.[14] 국왕에게는 총리 임명권이 없다.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은 경우에는 선거 실시 또는 의장에 의한 해임이 이루어진다.[14] 그 외 총리는 내각의 다른 장관들을 임명한다.[14]
3. 2. 임명 절차
스웨덴 의회 의장은 당 대표들과 협의하여 스웨덴 의회의 승인을 받을 총리 후보를 제안한다.[7] 의장이 제안한 후보는 부정적 의회주의를 통해 선출된다. 이는 찬성표나 기권표의 수에 관계없이 175명 미만의 의원이 '반대'표를 던지면 총리 후보가 확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며,[8] 스웨덴 의회의 과반수가 "용인하는" 것으로 설명된다.[9]스웨덴 의회의 승인을 받은 후, 새로 지명된 총리 지명자는 새로운 정부를 구성할 장관들을 의회에 알려야 한다. 정부의 공식적인 교체 및 새 총리 임기의 시작은 왕궁에서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이루어진다. 이 회의는 현재 국왕인 칼 16세 구스타프가 주재하는 정부 회의이다. 이 회의에서 의장은 지명 및 선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그 후 국왕은 정부 교체가 이루어졌다고 선포하여 새로운 총리와 그 정부의 임명을 확정한다.[10] 총리의 위임장 인수는 일반적으로 스웨덴 의회에서 이루어졌으나, 2022년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 임명 당시에는 의장 안드레아스 놀렌이 국무회의에서 위임장을 인수하였다.[11]
스웨덴은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의원내각제에 따라 총리가 정부를 운영한다.[14] 1974년에 제정된 스웨덴 헌법 중 통치법에서 총리의 임명 및 해임, 정부 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14] 총리 후보는 리크스다그(의회) 의장이 의회에 제안하고,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지 못한 경우 의장이 임명한다.[14] 국왕에게는 총리 임명권이 없으며,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은 경우에는 선거 실시 또는 의장에 의한 해임이 이루어진다.[14] 그 외 총리는 내각의 다른 장관들을 임명한다.[14]
4. 총리의 권한과 역할
스웨덴 정부 형태는 총리가 내각 구성원 중 한 명을 부총리로 임명하여 총리가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총리의 직무를 대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부총리가 없거나 임명되지 않은 경우, 내각에서 가장 오래 근무한 장관이 정부 수반 대행이 된다. 임기가 같은 장관이 여러 명일 경우, 연장자가 그 직책을 맡는다 (현재 정부 계승 순위는 ''스웨덴 정부 계승 순위'' 참조).[14]
헌법적으로, 총리의 지위는 덴마크 및 노르웨이의 총리보다 강력하다. 1975년 이후로 총리는 정부 형태에 명시된 권한과 의무를 가진 ''법률상'' 및 ''사실상'' 최고 행정 책임자가 되었다. 두 이웃 스칸디나비아 군주국에서는 군주가 명목상의 최고 행정 책임자이지만, 관례상 장관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그러나 1971년 주요 정당들이 합의한 소위 ''토레코프 타협''은 1975년에 시행된 정부 형태에 명문화되었고, 스웨덴 군주의 정부 업무에 대한 명목상의 역할까지 박탈하여 1917년 의회 정부의 확립 이후 실제로 시행되어 온 관행을 성문화하였다.[14]
스웨덴은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의원내각제에 따라 총리가 정부를 운영한다.[14] 스웨덴 헌법 중 1974년에 제정된 통치법에서 총리의 임명 및 해임, 정부 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14] 총리 후보는 리크스다그(의회) 의장이 의회에 제안하고,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지 못한 경우 의장이 임명한다.[14] 국왕에게는 총리 임명권이 없다.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은 경우에는 선거 실시 또는 의장에 의한 해임이 이루어진다.[14] 그 외 총리는 내각의 다른 장관들을 임명한다.[14]
5. 총리의 사임 및 해임
총리의 사임 및 해임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 총리가 사임, 사망 또는 리크스다그에 의해 사퇴당하면, 리크스다그 의장은 총리(또는 총리 대리)에게 새로운 정부가 취임할 때까지 임시 정부로서 정부를 유지해 줄 것을 요청한다.[10]
- 총리를 제외한 각료(statsråd|스탓스로드sv)는 리크스다그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불신임 투표로 사퇴를 강요당할 수 있다.[12]
- 총리가 불신임 투표로 사퇴하면 내각 전체가 해임되고 새로운 총리를 선출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 총리는 선거 후 3개월 이내를 제외하고는 불신임 투표를 받은 후에도 리크스다그를 해산할 수 있다.[10]
스웨덴은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군주제 국가이며 의원내각제에 따라 총리가 정부를 운영한다.[14] 1974년에 제정된 스웨덴 헌법 통치법은 총리의 임명 및 해임, 정부 활동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14] 총리 후보는 리크스다그(의회) 의장이 의회에 제안하며,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지 못한 경우 의장이 임명한다. 국왕에게는 총리 임명권이 없다.[14]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은 경우에는 선거 실시 또는 의장에 의한 해임이 이루어진다.[14] 총리는 내각의 다른 장관들을 임명한다.[14]
5. 1. 사임
총리가 사임하거나 사망하는 경우, 또는 리크스다그에 의해 사퇴당하면, 리크스다그 의장은 총리(또는 총리 대리)에게 새로운 정부가 취임할 때까지 임시 정부로서 정부를 유지해 줄 것을 요청한다.[10]총리를 제외한 각료(cabinet ministers, statsråd|스탓스로드sv)는 리크스다그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불신임 투표로 사퇴를 강요당할 수 있다.[12] 총리가 불신임 투표로 사퇴하도록 강요받으면, 내각 전체가 해임되고 새로운 총리를 선출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총리는 선거 후 3개월 이내를 제외하고는 불신임 투표를 받은 후에도 리크스다그를 해산할 수 있다.[10]
5. 2. 해임
총리가 사임하거나 사망하는 경우, 또는 리크스다그에 의해 사퇴당하면, 리크스다그 의장은 총리(또는 총리 대리)에게 새로운 정부가 취임할 때까지 임시 정부로서 정부를 유지해 줄 것을 요청한다.[10]총리를 제외한 각료는 리크스다그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없지만, 불신임 투표로 사퇴를 강요당할 수 있다.[12] 총리가 불신임 투표로 사퇴하도록 강요받으면 내각 전체가 해임되고 새로운 총리를 선출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총리는 선거 후 3개월 이내를 제외하고는 불신임 투표를 받은 후에도 리크스다그를 해산할 수 있다.[10]
스웨덴 헌법 중 1974년에 제정된 통치법에는 총리의 해임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어 있다.[14] 리크스다그 의장은 의회에 총리 후보를 제안하며, 재적 의원 과반수의 불신임을 얻은 경우에는 선거를 실시하거나 의장이 해임한다.[14]
6. 총리 관저 및 시설
총리 관저는 스톡홀름 중심부의 로젠바드에 있으며, 리크스다그 의사당과 마주하고 있다. 1991년 사거 하우스가 인수되어 1995년부터 총리의 개인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플렌시, 쇠데르만란드주에 있는 하르프순드 영지는 1953년부터 총리의 별장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정부 회의 및 비공식 정상회담에도 자주 사용된다.[1]
6. 1. 총리실
총리 관저를 포함한 정부 청사는 스톡홀름 중심부의 로젠바드(Rosenbad)에 위치하며, 헬게안드홀멘(Helgeandsholmen)에 있는 리크스다그 의사당과 바로 수면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1]1991년 사거 하우스(Sager House) (이전에는 "사거 궁전"으로 불렸다)가 인수되었고, 1995년부터 총리의 개인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1]
플렌 시(Flen Municipality), 쇠데르만란드주(Södermanland County)에 있는 하르순드(Harpsund) 영지(manor house)는 1953년부터 총리의 별장으로 사용되어 왔다.[1] 이 영지는 또한 스웨덴 정부, 산업계 및 여러 단체 간의 정부 회의 및 비공식 정상회담에도 자주 사용된다.[1]
6. 2. 총리 관저
총리 관저를 포함한 정부 청사는 스톡홀름 중심부의 로젠바드(Rosenbad)에 위치하며, 헬게안드홀멘에 있는 리크스다그 의사당과 바로 수면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1991년 사거 하우스(Sager House) (이전에는 "사거 궁전"으로 불렸다)가 인수되었고, 1995년부터 총리의 개인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플렌시, 쇠데르만란드주에 있는 하르프순드 영지(manor house)는 1953년부터 총리의 별장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영지는 또한 스웨덴 정부, 산업계 및 여러 단체 간의 정부 회의 및 비공식 정상회담에도 자주 사용된다.
6. 3. 별장
플렌 시(Flen Municipality), 쇠데르만란드 주(Södermanland County)에 있는 하르프순드 영지는 1953년부터 총리의 별장으로 사용되어 왔다.[1] 이 영지는 또한 스웨덴 정부, 산업계 및 여러 단체 간의 정부 회의 및 비공식 정상회담에도 자주 사용된다.[1]7. 역대 총리 목록
순서 |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1 | 루이 게르하르트 데 예르 | 1876년 3월 20일 | 1880년 4월 19일 | 무소속 |
2 | 알비드 포세 | 1880년 4월 19일 | 1883년 6월 13일 | Lantmannapartiet|란트만나당sv |
3 | 카를 요한 티세리우스 | 1883년 6월 13일 | 1884년 5월 16일 | 무소속 |
4 | 로버트 템프탄더 | 1884년 5월 16일 | 1888년 2월 6일 | 무소속 |
5 | 길스 비르트 | 1888년 2월 6일 | 1889년 10월 12일 | 무소속 |
6 | 구스타프 외켈예름 | 1889년 10월 12일 | 1891년 7월 10일 | Första kammarens protektionistiska parti|제1상공회의소 보호주의당sv |
7 | 에리크 구스타프 보스트롬 | 1891년 7월 10일 | 1900년 9월 12일 | Lantmannapartiet|란트만나당sv |
8 | 프레드리크 폰 오터 | 1900년 9월 12일 | 1902년 7월 5일 | 무소속 |
9 | 에리크 구스타프 보스트롬 (2기) | 1902년 7월 5일 | 1905년 4월 13일 | Lantmannapartiet|란트만나당sv |
10 | 요한 람스테드 | 1905년 4월 13일 | 1905년 8월 2일 | 무소속 |
11 | 크리스티안 룬데베리 | 1905년 8월 2일 | 1905년 11월 7일 | Protektionistiska partiet|보호주의당sv |
12 | 카를 스타브 | 1905년 11월 7일 | 1906년 5월 29일 | Liberala samlingspartiet|자유연합당sv |
13 | 알비드 린드만 | 1906년 5월 29일 | 1911년 10월 7일 | 유권자 연맹 |
14 | 카를 스타브 (2기) | 1911년 10월 7일 | 1914년 2월 17일 | Liberala samlingspartiet|자유연합당sv |
15 | 야르마르 하마르셸드 | 1914년 2월 17일 | 1917년 3월 30일 | 무소속 |
16 | 카를 슈바르츠 | 1917년 3월 30일 | 1917년 10월 19일 | 국민당(Nationalist Party) |
17 | 닐스 에덴 | 1917년 10월 19일 | 1920년 3월 10일 | Liberala samlingspartiet|자유연합당sv |
18 | 카를 야르마르 란딩 | 1920년 3월 10일 | 1920년 10월 27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19 | 루이 드 예르 2세 | 1920년 10월 27일 | 1921년 2월 23일 | 무소속 |
20 | 오스카르 폰 시도 | 1921년 2월 23일 | 1921년 10월 13일 | 무소속 |
21 | 카를 야르마르 란딩 (2기) | 1921년 10월 13일 | 1923년 4월 19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22 | 에른스트 트뤼거 | 1923년 4월 19일 | 1924년 10월 18일 | 국민당(National Party) |
23 | 카를 야르마르 란딩 (3기) | 1924년 10월 18일 | 1925년 1월 24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24 | 릭카르드 산들러 | 1925년 1월 24일 | 1926년 6월 7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25 | 카를 구스타프 에크만 | 1926년 6월 7일 | 1928년 10월 2일 | Frisinnade folkpartiet|자유국민당sv |
26 | 알비드 린드만 (2기) | 1928년 10월 2일 | 1930년 6월 7일 | 유권자 연맹 |
27 | 카를 구스타프 에크만 (2기) | 1930년 6월 7일 | 1932년 8월 6일 | Frisinnade folkpartiet|자유국민당sv |
28 | 펠릭스 함린 | 1932년 8월 6일 | 1932년 9월 24일 | Frisinnade folkpartiet|자유국민당sv |
29 | 페르 알빈 한손 | 1932년 9월 24일 | 1936년 6월 19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30 | 악셀 페르손-브람스토르프 | 1936년 6월 19일 | 1936년 9월 28일 | 농민동맹 |
31 | 페르 알빈 한손 (2기) | 1936년 9월 28일 | 1946년 10월 6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 | 외스텐 운덴 (권한대행) | 1946년 10월 6일 | 1946년 10월 11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32 | 타게 에를란데르 | 1946년 10월 11일 | 1969년 10월 14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33 | 올로프 팔메 | 1969년 10월 14일 | 1976년 10월 8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34 | 토르비외른 펠딘 | 1976년 10월 8일 | 1978년 10월 18일 | 중앙당 |
35 | 올라 울스텐 | 1978년 10월 18일 | 1979년 10월 12일 | 자유당 |
36 | 토르비외른 펠딘 (2기) | 1979년 10월 12일 | 1982년 10월 8일 | 중앙당 |
37 | 올로프 팔메 (2기) | 1982년 10월 8일 | 1986년 3월 1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38 | 잉바르 칼손 | 1986년 3월 1일 | 1991년 10월 4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39 | 카를 빌트 | 1991년 10월 4일 | 1994년 10월 7일 | 온건당 |
40 | 잉바르 칼손 (2기) | 1994년 10월 7일 | 1996년 3월 22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41 | 예란 페르손 | 1996년 3월 22일 | 2006년 10월 6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42 | 프레드리크 라인펠트 | 2006년 10월 6일 | 2014년 10월 3일 | 온건당 |
43 | 스테판 뢰벤 | 2014년 10월 3일 | 2021년 11월 30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44 | 마그달레나 안데르손 | 2021년 11월 30일 | 2022년 10월 18일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
45 | 울프 크리스테르손 | 2022년 10월 18일 | (현직) | 온건당 |
8. 총리 급여
총리를 포함한 내각 장관들의 급여는 스웨덴 의회의 '내각 장관 급여 위원회'(Statsrådsarvodesnämnden)에서 결정하며 매년 검토 대상이다. 2022년 1월 1일부터 총리의 월급은 184000SEK이다.[13]
참조
[1]
웹사이트
Start
https://www.riksdage[...]
2023-11-10
[2]
웹사이트
Prime Minister's Office
https://www.governme[...]
2014-11-24
[3]
기타
Sager House, the official residence of the Prime Minister of Sweden
https://www.flickr.c[...]
2018-08-27
[4]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Almqvist & Wiksell
[5]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Almqvist & Wiksell
[6]
학술지
Majoritarian and Consensus Democracy: the Swedish Experience
2007-05-01
[7]
웹사이트
Forming a government
http://www.riksdagen[...]
Sveriges Riksdag
2016-12-06
[8]
웹사이트
Så bildas regeringen
https://www.regering[...]
2014-11-05
[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Sweden - The Fundamental Laws and the Riksdag Act
https://www.riksdage[...]
2021-11-25
[10]
웹사이트
Forming a government
https://www.riksdage[...]
[11]
웹사이트
https://www.aftonbla[...]
[12]
웹사이트
Examines the work of the Government
https://www.riksdage[...]
[13]
웹사이트
Statsrådsarvoden och ersättningar
https://www.riksdage[...]
Government of Sweden
2019-07-01
[14]
웹사이트
各国憲法集(1)スウェーデン憲法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調査および立法考査局
20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